개발 관련 공부139 [cs 정리] 개발 상식 1. Rest API 란 무엇인가? REST api는 REST의 특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REST란,자원(Resource)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자원에 대해 CRUD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URI에 HTTP Method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자원이 특정한 형태로 반환되는 것이 REST의 개념! 🔎 CRUD 연산이란?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 Read, Update, Delete를 묶어서 일컫는 말.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REST의 구성 요소 자원: HTTP URI 행위: HTTP Method(Get, Post, Put 등등...) 표현: C.. 2022. 9. 15. get과 post의 차이점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get과 post는 사실 여러번 써봤다. 하지만 둘의 차이점은 잘 모르고 다른 코드 참고하면서 그냥 막 썼던 것 같다.🙄 rest api를 공부하다가 마침 생각이 나서 같이 정리해본다. GET의 특징 정보를 읽기 위해 쓰는 메서드 캐싱이 가능하다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기록이 남는다 길이 제한이 있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를 다루면 안된다. 멱등이다. 🔎멱등이란? 멱등성(idempotent)은,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POST의 특징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로 데이터를 보낼때 쓰는 메서드 캐싱이 불가능하다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기록.. 2022. 9. 15. 클린코드 5장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클린코드 5장 프로그래머라면 형식을 깔끔하게 맞춰 코드를 짜야 한다.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착실히 따라야 한다. 팀으로 일한다면 팀이 합의해 규칙을 정하고 모두가 그 규칙을 따라야 한다. 형식을 맞추는 목적 오랜 시간이 지나 원래 코드의 흔적을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코드가 바뀌어도 맨 처음 잡아놓은 구현 스타일과 가독성 수준은 유지보수 용이성과 확장성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고 의사소통은 전문 개발자의 일차적인 의무이다. 적절한 행 길이를 유지하라 일반적으로 큰 파일보다 작은 파일이 읽기 쉽다. 🔎 신문 기사처럼 작성하라 신문을.. 2022. 9. 15. 클린코드 4장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4장 주석 주석이 필요한 상황에 처하면 곰곰이 생각하기 바란다. 상황을 역전해 코드로 의도를 표현할 방법은 없을까? 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한다. 코드가 엉망진창이라 설명하기 위해서 주석을 단다? 그냥 코드를 깔끔하게 바꿔라. 뼈때리네..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라 //직원이 복지해택 받을 자격 있으면... if (employee.flag==True){ ... } 이렇게 하지말고 if (employee.isEligibleForFullBenefits()){ ... } 이렇게 하자 좋은 주석 아래는 글자값 하는 주석의 목록이다. 법적인 주석: 코드 파일 첫머리의 저작권 정보 등.. 정보를 제공하는 주석.. 2022. 9. 15. 클린코드 3장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3장 함수 의도를 분명히 표현하는 함수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함수에 어떤 속성을 부여해야 처음 읽는 사람이 프로그램 내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까? 작게 만들어라 중첩 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된다. 함수에서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서면 안된다. if문, while문 안에 들어가는 코드가 길어질거 같다면 함수로 쪼개자 한 가지만 해라 함수는 한 가지만 해야 한다. '한가지' 의 기준이 좀 모호한데... 의미 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면 그 함수는 여러 작업을 한다고 봐도 된다. 함수 당 추상화 수준은 하나로 추상화 수준이 높은 함수랑 추상화 수준이 낮은.. 2022. 9. 15. 클린코드 2장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2장 의미 있는 이름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 좋은 이름으로 절약하는 시간이 많다... 예를들면 날짜 변수라면 int d; 이딴식으로 짓지 말고 int elapsedTimeInDays; int daySinceCreation; 이렇게 짓자. 이렇게 이름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면 코드의 단순성(연산자 수, 상수 수 등)은 똑같더라도 코드가 더욱 명확해진다. 그릇된 정보를 피하라 나름대로 널리 쓰이는 의미가 있는 단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면 안된다. 예를들어 직각삼각형의 빗변(hypotenuse)를 hp라고 하면...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냥 int 변수를 어쩌구_List 이렇게 짓는 것도 피하자. 헷갈릴 여지가.. 2022. 9. 1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