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관련 공부/컴퓨터 네트워크13 Chapter3 : Transport Layer(2)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3.5 Connection-oriented transport:TCP connection-oriented:handshaking full duplex data(양방향) pipeline(ack 안받고 연속으로 보냄) flow control(rwnd) congestion control(cwnd) TCP segment structure ack num: 다음에 이거 보내줘! 0~535byte 포함하는 segment 받았으면 다음 ack num은 536 receiver가 틀린 순서로 받으면? ack은 받아야 되는 올바른 번호로 보내고, 잘못 받은건 버리거나 keep하거나 알아서..(tcp 정의x) sendbase:.. 2022. 9. 12. Chapter3 : Transport Layer(1)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3.1 Transport layer service L4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TCP,UDP 4계층의 가장 중요한 업무: multiplexing, demultiplexing TCP만 하는 업무: reliable data transfer, 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connection set up TCP의 send side msg를 segment로 쪼갬 TCP의 rcv side segment를 msg로 다시 reassemble ※UDP의 경우 L3이 잘라준다.(ip fragment) 쪼개는 작업은 누가? L4,L3,IPV4라우터 L4는 MSS(maximum segment .. 2022. 9. 12. Chapter2 : Application Layer(3)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2.6 Video streaming an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CDNs) 문제 상황: 서버의 storage, network. 클라마다 다른 환경. 해결법: 1. CDN(직접 네트워크 만들자) 2. application level infrastructure (똑똑한 클라가 자기 환경에 맞춰서 대응) Streaming stored video 1. progressive 옛날 방식, 클라가 스트리밍 도중 화질 전환하면 서버에서 다시 다운로드. 가져왔는데 재생 안한 부분에 대해 bw 낭비 2. Adaptive: (DASH) 영상을 chunk로 쪼갬. 똑같은 chunk가 화질별로.. 2022. 9. 12. Chapter2 : Application Layer(2)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2.4 DNS Domain Name System:url을 32 bit ip addr로 바꾼다. distributed db application layer protocol centralize DNS 안쓰는 이유들 single point of failure traffic volume distant centeralized(멀면 딜레이 김) DNS: service, structure DNS service 1. host name to IP addr 2. host aliasing (CNAME 타입으로 저장) 별칭 이름! 3. mail server aliasing (MX 타입으로 저장.) ※어쩌구.edu → 3번서.. 2022. 9. 12. Chapter2 : Application Layer(1)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2.1 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 L5 레이어의 두 가지 구조 클라-서버(HTTP,SMTP,DNS) p2p client-server 아키텍쳐 서버: 항상 켜져 있고 ip 주소 영구적. 클라: 대화를 엶. 서로와 직접 소통 x. ip 주소 다이나믹. p2p 아키텍쳐 항상 켜져 있지 않음. 일시적으로 연결되고 ip 바꾸기 가능. self scalability- 새로운 peer의 join은 곧 더 많은 서버. Soket L5와 L4 사이의 문짝. Addressing processes host device는 L2의 NIC(Network Interface Card), ident.. 2022. 9. 12. Chapter1 : Introduction(2) 이 포스트는 2021.12~2022.09 기간동안 벨로그에 작성한 글을 티스토리에 옮겨 적은 것입니다. 1.4 Delay, loss, throughput in network one- hop delay에 포함되는 4가지 delay 1. processing delay(처리 지연):라우팅+스위칭 2. queueing delay: output 큐에서 대기하는 시간. 3. transmission delay(전송지연):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 4. propagation delay(전파 지연): 1 bit가 1 hop travel에 걸리는 시간. processing delay는 너무 작고, queueing delay는 너무 계산하기 어려워서 무시하는 경우 많음. transmission delay: pkt len.. 2022. 9.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